북한의 도발 사례

국지도발

  • 지상도발 – 502건
  • 해상도발 – 559건
  • 공중도발 – 51건
  • 전자전·사이버공격 – 5건

침투

  • 직접침투 – 1,749건
  • 간접침투 – 214건
  • 월북·납북자 간첩 남파 – 39건

1950. 6. ~ 1953. 7. 휴전 ~ 현재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4시경 북한군이 암호명 ‘폭풍 224’라는 치밀한 사전 계획에 따라 북위 38도선 전역에 걸쳐 대한민국을 선전포고 없이 기습 남침하여 발발한 전쟁으로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 중국 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한 국제전으로 비화되었다. 교전이 이어진 것은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기까지 사실상 3년 1개월(1129일)간이며, 현재까지 명목상으로는 72년간 끝나지 않은 전쟁이다.

1967. 1. 19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년 1월 19일, 대한민국 해군 한국함대 제1전단 묵호경비부 소속 호위초계함인 당포함이 한반도 동해안에서 북한 육군 해안포의 포격을 받아 격침된 사건이다.

1968. 1. 21 – 1.21사태

1968년 1월 21일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소속 공작원(124부대)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여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하여 청와대로부터 300m 떨어져있는 종로구 세검정 고개까지 침투하였던 사건이다.

1968. 11. 2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년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3일에 걸쳐 무장 공비 120명이 울진·삼척 지역에 침투하여 12월 28일 대한민국 국군에 소탕되기까지 약 2개월간 게릴라전을 벌인 사건이다.

1974. 11. 5 ~ 1990. 3. 3 – 남침용 땅굴 발견 사건

남침땅굴은 북한이 대한민국을 침략할 목적으로 건설한 군사용 터널을 말한다. 12022년까지 총 4개의 남침용 땅굴이 발견되었다.

1976. 8. 18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인근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북한 군인 30여명이 도끼를 휘둘러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을 감독하던 주한 미군 장교 2명을 살해하고 주한 미군 및 대한민국 국군 병력 절대다수에게 피해를 입힌 사건이다.

1983. 10. 9 –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1983년 10월 9일,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방문 중이던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의 암살을 시도한 북한의 폭탄테러로 대한민국의 서석준 부총리와 이범석 외무부 장관, 김동휘 상공부 장관 등 각료와 수행원 17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1987. 11. 29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출발한 대한항공 858편이 아부다비, 방콕을 경유 한 뒤 한국으로 오던 중 인도양 상공에서 북한이 파견한 공작원에 의하여 공중 폭파된 사건이다.

1996. 9. 18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년 9월 북한 상어급 잠수함이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 부근에서 좌초된 후 잠수함에 탑승한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 특수부대원 26명이 강릉 일대로 침투한 사건이다. 이에 대한민국 육군은 49일간 소탕 작전을 벌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수의 잠수함 승조원들과 대한민국 군인, 민간인들이 사망하고 승조원 1명이 생포되었다.

1999. 6. 15 – 제1연평해전

1999년 6월 15일 오전 9시경 서해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북한 해군의 도발로 벌어진 남북 함정간의 해전으로 당시 한국 해군은 7명이 부상, 고속정이 경미한 피해 입은 반면 북한 해군은 어뢰정 1척과 경비정 1척이 침몰하고 다른 경비정 3척도 심각한 타격을 입고 퇴각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2002. 6. 29 – 제2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연평도 근해 북방한계선 부근 해상에서 일어난 남북한 간의 군사적 충돌이다.
북한군의 선제 공격을 당한 대한민국 해군의 참수리 357호는 교전 후 예인도중 침몰하였고, 정장을 포함한 승무원 6명이 전사하고 18명이 부상당하는 인명피해를 겪었다. 조선인민군 해군소속 등산곶 684호도 상당한 피해를 입고 예인됐다.

2006. 10. 9 ~ 현재 – 북한의 핵실험

북한은 지난 2006년 첫 핵실험을 시작으로 폭발력이 낮은 핵탄두부터 폭발력이 높은 수소 폭탄 급까지 단계적으로 진행 발전해 왔다. 이로 인해 한미와 북 간 갈등이 심화되며 한반도 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2010. 3. 16 – 천안함 피격사건

2010년 3월 26일 밤 9시 22분, 대한민국 백령도 남서쪽 약 1km 지점에서 포항급 초계함인 PCC-772 천안함이 초계임무 수행도중 북한 해군 잠수정의 어뢰에 공격당해 선체가 반파되며 침몰한 사건이다.

2010. 11. 23 – 연평도 포격전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4분부터 한반도의 서해 5도 중 하나인 대한민국령 연평도를 북한군이 선전포고 없이 포격한 사건. 또한 정전 협정 이래 최초로 발생한 민간 거주구역에 대한 공격이다.

2015. 8. 4 –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

2015년 8월 4일 대한민국 육군 제1보병사단 예하 수색대대 부사관 2명이 비무장지대의 아군 추진철책 통로에서 북한군의 목함지뢰를 밟아 중상을 입은 사건이다.

2016. 6. 15 ~ 현재 – 화성-12 중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북한의 액체연료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화성 미사일 시리즈 중 하나이며 사거리는 5,000km 수준이다.

2020. 6. 16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년 6월 16일 오후 2시 49분경 북한 김정은 정권이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무단 폭파한 사건이다.

2020. 9. 21 –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2020년 9월 22일 밤에 서해 소연평도 인근 해역에서 어업지도활동을 하던 해양수산부 어업관리단 소속 전라남도 목포시 공무원인 남성 이대준씨가 남측의 해역에서 실종되어, 실종 지점에서 북서쪽으로 38km 떨어진 북방한계선 이북의 북한 황해남도 강령군 등산곶 해안에서 북한군 총격에 숨진 사건이다.

2000년대 이후 ~ 현재 – 북한의 사이버 공격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해커 규모는 최소 6천 명, 이 가운데 최상위 300~500명은 미 첩보기관인 국가안보국(NSA) 해커 그룹과 대등한 실력을 갖추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북한이 사이버 공격으로 벌어들이는 자금이 연간 20억 달러(약 2조 8천억 원)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로 29 비상대비체험관(전쟁기념관)
Tel  : 070-4109-3225 / Email : iusskwc@gmail.com
COPYRIGHTⓒ 2022 by 통일안보전략연구소
카카오톡 채널 상담하기
카카오톡 채널 친구추가